가. 추진목적
- 교육 현장의 문제를 연구·시범 운영함으로써 공교육의 내실화 지원
- 교육의 당면 문제해결과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적용을 통해 교육의 질 제고
- 연구·시범학교 운영 결과에 대한 일반화 방안 및 교육의 균형 발전 촉진
2-1-1 연구학교 담당 교원 연수 및 길라잡이 배포
- 시기: 2월
- 대상: 연구학교 교감, 주무부장, 주제담당 등
- 내용: 연구학교 운영 계획서 작성 방법, 연구검증 방법 및 보고서 작성 방법, 연구 성과 발표 및 자료 제작 방법 등 연구학교 운영 방향 및 행정 사항 안내
2-1-2 연구학교 담당 전문직 지원단 협의회
- 시기: 3월
- 대상: 연구학교 담당 교육전문직(본청, 교육지원청, 우리 원 등)
- 내용: 연구학교 관련 단계별 지도 및 보고서 지도 방법
2-1-3 단계별 전문직 지원단 및 현장 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컨설팅 실시
- 시기: 3월~12월
- 대상: 연구학교
- 내용
- 계획 단계(3월~4월): 학교단위 자체협의회를 통한 계획서 수정·보완, 광주교육연구정보원으로 내원하여 컨설팅 실시
- 실천 단계(5월~6월): 학교 연구 여건, 연구과제별 추진 상황 점검 및 공개수업 참관
- 보고 단계(10월~11월): 공개수업 참관, 협의회 및 보고회 운영
- 일반화 단계(12월): 연구학교 성과물 네트워크 탑재 및 제출
- ※ 연구주제별 현장교원(박사학위 소지자 등), 전년도 연구학교 담당자 등으로 컨설턴트 인력풀을 구성하여 연구학교에 제공·활용
2021년 연구학교 운영 현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