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시대, 광주학생의 미래에 날개를 다는 광주교육연구정보원
AI시대, 광주학생의 미래에 날개를 다는 광주교육연구정보원
AI시대, 광주학생의 미래에 날개를 다는 광주교육연구정보원

안정성 높고 신뢰받는 교육정보시스템 운영

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& Information Service

교육정보 활용 인프라 구축·관리

4-1-1 광주교육정보망 관리·운영

목적

  • 최적의 인터넷 활용 환경 제공으로 교육정보 서비스의 품질 향상 도모
  • 광주교육정보망 전용 회선 운영으로 지속적인 인터넷 모니터링 및 신속한 장애 대응 기반 마련
  • 디지털교과서 활용 등 인터넷 사용량 증가에 따른 학교 인터넷망 고도화 및 진단 분석을 통한 최적의 운영환경 조성
  • IT 인프라 자원의 효율적 이용, 관리체계 일원화 및 안정성 유지

추진 계획

1) 광주교육정보망 회선 및 시스템 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473회선
    • 정보원 네트워크 라우터, 백본스위치, 보안장비 등 41종 81식
    • 학교(기관)에 보급한 방화벽, 보안 및 기가스위치 등 4종 4,668식
    • 통신사(KT) 국사에 위치한 방화벽, 스위치, 보안장비 등 7종 42식
  • 내용 : 인터넷 회선 모니터링 및 안정화 지원
2) 4단계 스쿨넷 장비 최적화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내용
    • 학교(기관)의 요구에 맞게 통신망 환경변화, 미래교육 등 이용기관의 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네트워크 최적화
    • 가시화장비, 보안장비 등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
    • 도입장비의 서비스 최적화를 통한 인터넷 환경 개선
3) 4단계 스쿨넷 서비스 전체 학교 2G 증속 추진
  • 시기 : 2~12월
  • 대상 : 관내학교 313교
  • 내용 : 전체 학교 스쿨넷 서비스 전용회선 1G(초·중),1.5G(고) · 2G 증속 추진
4) 10G 상용망 확대 구축 및 시범 운영
  • 시기 : 1~12월
  • 대상 : 관내학교 3교
  • 내용 : 3개 학교 10G 상용 무선망 구축 및 시범 운영 추진
5) 광주교육정보망 IP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전 기관 및 학교
  • 내용 : 기관(학교)에 배정된 IP의 체계적 관리 및 지원
6) 백본 회선 구간 점검 및 정밀 진단
  • 시기 : 11월
  • 대상 : 라우터, 백본 스위치, 통신사 집선스위치, 정보원과 통신사(KT) 간 연결 회선
  • 내용 : 시스템 및 트래픽 점검, 인터넷 회선 이원화·이중화 절체 시험
7) 품질측정 및 보안컨설팅
  • 시기 : 10월
  • 대상 : 중요 네트워크 및 보안장비
  • 내용 : 시스템 취약점 진단 및 조치, 모의 해킹 테스트
8) 로그수집 시스템 운영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서버, 네트워크 및 보안장비 일체
  • 내용 : 로그분석을 통한 취약점 보완 등 보안성 강화
9) 무선망(educity) 통합 운영 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무선망 구축 기관(일부 학교 포함)
  • 내용
    • 대상기관에 구축된 무선망(educity) 통합 운영 관리
    • 무선망 사용자 계정 승인 및 서비스 지원
    • 시스템: 방화벽, 집선스위치, NMS, 인증서버, DHCP서버, 컨트롤러 등 6종 15식
10) 학교 무선망(wi_gen) 구축 및 운영 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관내학교 331교
  • 내용
    •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해 학교 무선망 구축 및 통합 운영
    • 신설·재배치·증축학교 등 무선망 설치 지원
    • 학교 무선망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유지관리 및 무선망 장애 학교 컨설팅 지원
11) 학교 무선망(wi_gen) 확대 구축 확대
  • 시기 : 1~9월
  • 대상 : 무선망 확대 구축 희망학교, 총 1,400실
  • 내용 : 대상 학교에 무선AP, POE스위치, 케이블 설치 및 유선망 연계 등 학교 무선망 확대 구축
12) AIDT 도입에 대비한 학교 무선 인프라 집중 점검 및 장애 대응
  • 시기 : 1~12월
  • 대상 : `25년 AIDT 도입 교실
  • 내용
    • AIDT 도입 대상 학년 및 교실 내 무선 인프라 집중 점검(무선AP 성능, 속도 등) 실시
    • ADIT 테크센터와 협력하여 학교 무선 인프라 장애 대응 지원체계 운영
    • 학교점검 시 효율적인 무선 장비 관리 방안 제시 및 업무 매뉴얼 제공
13) 학내전산망 구축 및 운영 관리
  • 시기 : 3~12월
  • 대상 : 2026년 신설학교 참미르초(병설유치원 포함), 운수초, AI교육원
  • 내용 : 학내전산망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구매·설치 및 장비간 연결 공사
14) NEW 학내전산망 구축 사업 추진 신규
  • 시기 : 1~12월
  • 대상 : 61교(1단계)
  • 내용
    • 기가급 케이블 포설, SDN 장비 설치, 정보원 통합관리 연동
    • 디지털 교육에 적합한 유무선망 10G급 네트워크 환경 조성
    • 교육연구정보원 중앙관제 체계 구축으로 학교 업무 경감

4-1-2 광주교육정보시스템 유지관리

목적

  • 정기점검을 통해 돌발성 고장을 예방하여 광주교육정보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
  • 예기치 않은 장애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

추진 계획

1) 광주교육정보시스템 유지관리 및 보안관제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689식(네트워크 210식, 보안 178식, 서버 270식, 물적기반 31식)
  • 내용
    • 서버, 네트워크, 기반시설 등 장비 점검 및 장애 처리
    • 장비 현황, 장애 처리, 자산변동사항, 운영 매뉴얼 등 관리
    • 광주교육정보시스템 성능 및 보안취약점 진단(6월~8월)
    • 주전산실 내 환경 개선 작업(클리닝) 실시(11월)
    • 차년도 광주교육정보시스템 유지관리 및 보안관제 용역 사업 추진(7월~12월)
2) 광주교육정보시스템 보안취약점 제거 및 성능 개선
  • 시기 : 6월~8월
  • 대상 : 광주교육정보시스템
  • 내용 : 시스템 내 보안취약점 진단 및 제거, 시스템 구조 분석을 통한 성능 개선
3) 광주교육정보시스템 특별점검 및 집중 모니터링
  • 시기 : 1월~3월, 9월
  • 대상 : 웹호스팅 및 교육청 홈페이지 서버
  • 내용
    • 웹호스팅시스템 특별점검 및 모니터링을 통한 서비스 지원
    • 각종 발표 서비스에 대비한 교육청 홈페이지 점검 및 분산 서비스 지원

4-1-3 주전산실 관리·운영(기반시설 및 통합백업시스템 등)

목적

  • 주전산실 각종 시스템 운용상 최적의 환경 제공을 통한 교육정보 서비스의 품질 향상
  • 체계적인 백업 정책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
  • 각종 중요 Data를 재난·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신속한 복구체계 확립

추진 계획

1) 주전산실 운영 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광주교육정보시스템 및 기반시설(무정전전원장치, 항온항습기, 전기시설 등)
  • 내용
    • 주전산실 운영계획 수립(1월)
    • 주전산실 기반시설 및 장비 관리 대장 정비
2) 통합백업시스템 운영 관리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
    • 주센터(교육연구정보원) : 웹호스팅 등 광주교육정보시스템
    • 원격지(서부교육지원청) : K-에듀파인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
  • 내용
    • 통합백업시스템 운영 계획 수립(1월)
    • 백업 정책(일별, 월별)에 따른 주기적인 백업데이터 점검
3) 노후 기반시설 장비 교체
  • 시기 : 상반기
  • 대상 : 무정전전원장치 1대, 항온항습기 1대
  • 내용 : 안정적 전산장비 운영을 위한 노후 기반시설 장비 교체
4) 재난/재해 등 장애 대비 모의훈련
  • 시기 : 8월
  • 대상 : 주요 시스템, 기반시설 및 백업시스템
  • 내용
    • 각종 재난/재해 발생 시에 대비하여 정상 가동 점검 및 행동 요령 훈련
    • 백업데이터의 무결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복구 테스트 실시

4-1-4 웹호스팅시스템 관리·운영

목적

  • 각급 학교누리집 서버 공간 제공 및 안정적인 서버 관리를 통한 교원 업무 경감
  • 학교누리집 시스템 보안 강화 및 백업시스템을 통한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

추진 계획

1) 웹호스팅시스템 관리 및 운영
  • 대상 : 웹호스팅 서버, 도메인 서버, 통합백업시스템
  • 내용
    • 웹호스팅시스템 운영 계획 수립(1월)
    • 학교·기관 누리집 모니터링, 장애 처리 및 시스템 정기점검
    • 학교·기관 누리집 보안 인증 관련 시스템 운영
    • 도메인서버(DNS) 운영 관리
2) 웹호스팅 백업시스템 운영 및 기술지원
  • 대상 : 웹호스팅 서버 데이터베이스(DB)
  • 내용
    • 웹호스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증분백업(일별), 전체백업(주별)
    • 학교 및 기관 누리집 장애 발생 시 백업시스템을 통한 복구 지원
3) 웹호스팅시스템 고도화 사업
  • 대상 : 웹호스팅 시스템
  • 내용
    • 서버보안 SW 서비스 추가도입(5식)을 통한 최신 보안환경 제공
4) DNS 서비스 이중화 사업 신규
  • 대상 : 도메인 서버
  • 내용
    • DNS 서비스 이중화 구성을 통한 해킹발생 대응체계 마련 및 가용성 확보 조치
    • ※ 각급기관 DNS 서비스 가용성 확보조치 협조 안내(국정원 사호-343, 2024.4.30.)

4-1-5 하드디스크 파기장치 운영

목적

  • 하드디스크 및 이동식 저장매체에 대한 물리적 파기를 통한 자료 유출 방지
  • 저장매체 불법 유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, 안전한 파기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성 강화

추진 계획

1) 하드디스크 파기장치 운영 안내
  • 시기 : 3월
  • 대상 : 각급기관 및 학교
  • 내용 : 하드디스크, 저장매체 등 파쇄신청 및 절차 안내
2) 하드디스크 파기장치 운영
  • 시기 : 연중
  • 대상 : 각급기관 및 학교
  • 내용
    • 방문하는 기관(학교)을 대상으로 불용 처리되는 저장매체를 수합하여 파쇄
    • 파쇄된 폐기물에 대하여 한 달에 1회 수거 방문 처리